무거운 항성 IRS 4 (Infrared Source 4)가 그의 날개를 펼치기 시작했습니다. 고작 태어난지 10만년 밖에 안된 이 갓 난 항성1)으로부터 뿜어져나오는 물질들이 위에 보이는 Sharpless 2-106 (S106) 성운을 형성한 것입니다. IRS 4 항성을 돌고 있는 성간 먼지와 가스로 이뤄진 큰 원반은 이미지 중심 부근에 갈색으로 보이는데, 이들 덕분에 이 성운이 모래시계나 나비모양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IRS 4 항성 부근의 S106 성운 가스는 이온화된 뒤에 스스로 빛을 발하기 때문에 발광 성운처럼 행동하는데 반해, IRS 4 항성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성간 먼지의 경우는 중심 항성에서 부터 나오는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반사 성운처럼 행동합니다. S106 성운과 관련된 적외선 이미지를 상세하게 조사해보면, 수 백개의 가벼운 갈색왜성들이 성운 가스에 숨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106 성운은 약 2 광년2)에 걸쳐 펼쳐져 있는데, 거리는 백조 자리 (시리우스 자리) 방향으로 약 2000광년 떨어져있습니다.
이미지 저작권 : NASA, ESA, Hubble Legacy Archive
후처리 및 저작권 : Utkarsh Mishra
출처 : NASA APOD
Explanation: Massive star IRS 4 is beginning to spread its wings. Born only about 100,000 years ago, material streaming out from this newborn star has formed the nebula dubbed Sharpless 2-106 Nebula (S106), featured here. A large disk of dust and gas orbiting Infrared Source 4 (IRS 4), visible in brown near the image center, gives the nebula an hourglass or butterfly shape. S106 gas near IRS 4 acts as an emission nebula as it emits light after being ionized, while dust far from IRS 4 reflects light from the central star and so acts as a reflection nebula. Detailed inspection of a relevant infrared image of S106 reveal hundreds of low-mass brown dwarf stars lurking in the nebula's gas. S106 spans about 2 light-years and lies about 2000 light-years awa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Swan (Cygnus).
Image Credit: NASA, ESA, Hubble Legacy Archive
Processing & Copyright: Utkarsh Mishra
1) 별의 탄생과 진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제공하는 "별의 탄생과 진화"
[밤하늘의 물리학] Chapter 7. 성간 물질과 별의 탄생 과정
위키백과 제공 "항성 진화"
원문 링크 : NASA Science "Stars"
2) 광년
천문학 백과 "광년"
위키백과 제공 "광년"
원문 링크 : StarChild Question "What is a light-year and how is it used?"
'Science & A.I. > AP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주 작은 은하 한 방울 (A Little Drop of Galaxy) (0) | 2020.03.27 |
---|---|
안드로메다 정류장 (Andromeda Station) (0) | 2020.03.26 |
지나가는 별을 흐트려트리는 블랙홀 (A Black Hole Disrupts a Passing Star) (0) | 2020.03.24 |
플레이아데스 성단부터 에리다누스 고리까지 (From the Pleiades to the Eridanus Loop) (0) | 2020.03.23 |
Teide 화산 뒤로 지고 있는 달 (Moon Setting Behind Teide Volcano) (0) | 2020.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