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가 어떻게 처음으로 외계 생명에 대해 배우게 될까요? 한 가지 가능성은 토성의 달 엔셀라두스 얼음 표면 아래있는 외계 생명체를 찾는 것입니다. 그 곳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바로 호랑이 줄무늬라고 별명 붙여진 기다란 특징물때문인데요, 이 것은 위성의 얼려진 내부에서 얼음이 우주로 분출되는 것입니다. 이 표면의 틈은 위성의 남극에 있는 미세한 얼음 입자의 구름과 토성의 신비로운 E-ring을 만듭니다. 관련 증거는 2004년부터 2017년까지 토성의 궤도를 돌았던 로봇 카시니 우주탐사선에서 온 것이며, 여기에 보이는 엔셀라두스의 고해상도 이미지는 아주 가까운 근접비행을 통해 얻어졌습니다. 표면의 특이한 호랑이 줄무늬는 실제 색과 달리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거의 동일한 크기인 주변 위성 미마스는 거의 죽은 것처럼 보이는데 왜 엔셀라두스가 활동중인지는 수수께끼로 남아있습니다. 분출된 얼음 티끌에 대한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엔셀라두스에는 복잡한 유기 분자가 존재한다고 생각됩니다. 비록 입증된 건 아니지만, 탄소가 풍부한 이 거대한 분자는 엔셀라두스 지표 밑 대양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지하 생명체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또 다른 태양계내 위성은 바로 유로파입니다.
이미지 제작 및 저작권 : NASA, ESA, JPL, SSI, Cassini Imaging Team
출처 : NASA APOD
Explanation: How will humanity first learn of extraterrestrial life? One possibility is to find it under the icy surface of Saturn's moon Enceladus. A reason to think that life may exist there are long features -- dubbed tiger stripes -- that are known to be spewing ice from the moon's icy interior into space. These surface cracks create clouds of fine ice particles over the moon's South Pole and create Saturn's mysterious E-ring. Evidence for this has come from the robot Cassini spacecraft that orbited Saturn from 2004 to 2017. Pictured here, a high resolution image of Enceladus is shown from a close flyby. The unusual surface tiger stripes are shown in false-color blue. Why Enceladus is active remains a mystery, as the neighboring moon Mimas, approximately the same size, appears quite dead. A recent analysis of ejected ice grains has yielded evidence that complex organic molecules exist inside Enceladus. These large carbon-rich molecules bolster -- but do not prove -- that oceans under Enceladus' surface could contain life. Another Solar System moon that might contain underground life is Europa.
Image Credit: NASA, ESA, JPL, SSI, Cassini Imaging Team
'Science & A.I. > AP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혜성 백조의 이온 꼬리 (The Ion Tail of New Comet SWAN) (0) | 2020.04.29 |
---|---|
케플러-90 행성 체계 (The Kepler-90 Planetary System) (0) | 2020.04.28 |
에드윈 허블, 우주를 발견하다 (Edwin Hubble Discovers the Universe) (0) | 2020.04.26 |
허블의 우주 암초 (Hubble's Cosmic Reef) (0) | 2020.04.25 |
전 세계 곳곳에서의 밤 (Around the World at Night) (0) | 2020.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