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ience & A.I./APOD

안드로메다 섬 우주 (Andromeda Island Universe)

by 화이트홀N 2020. 4. 30.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는 M31, 250만 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 대 안드로메다 은하입니다. 하지만 망원경 없이는 20만 광년 크기의 이 어마어마한 나선 은하조차도 안드로메다 별자리에 있는 희미한 가스성운처럼 보입니다. 대조적으로,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 멋진 사진속에는 노란색의 밝은 중심, 구불구불한 어두운 먼지 띠, 광범위한 푸른색의 나선팔, 그리고 성단들이 담겼습니다. 비록 지금은 별 보기를 좋아하는 일반인들조차 M31 처럼 먼 은하들이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고무되어 있지만, 100년전만해도 천문학자들은 이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논쟁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 "나선 성운"들이 단순히 우리 은하의 외곽 구성요소일까요 아니면 우리 은하에 필적할만한 멀리 있는 별들의 시스템인 섬우주일까요? 이 질문은 그 유명한 셰플리와 커티스의 1920년 논쟁의 핵심이었으며, 그후 M31 관측이 안드로메다 섬우주를 지지하며 논란이 종결되었습니다.

 

Image Credit & Copyright: Yuzhe Xiao

출처 : NASA APOD

 

 

Explanation: The most distant object easily visible to the unaided eye is M31, the great Andromeda Galaxy some two and a half million light-years away. But without a telescope, even this immense spiral galaxy - spanning over 200,000 light years - appears as a faint, nebulous cloud in the constellation Andromeda. In contrast, a bright yellow nucleus, dark winding dust lanes, expansive blue spiral arms and star clusters are recorded in this stunning telescopic image. While even casual skygazers are now inspired by the knowledge that there are many distant galaxies like M31, astronomers debated this fundamental concept 100 years ago. Were these "spiral nebulae" simply outlying components of our own Milky Way Galaxy or were they instead "island universes", distant systems of stars comparable to the Milky Way itself? This question was central to the famous Shapley-Curtis debate of 1920, which was later resolved by observations of M31 in favor of Andromeda, island universe.

 

Image Credit & Copyright: Yuzhe Xiao

 

댓글